구입한 USB AC 무선랜 카드가 너무 불편해서 결국에는 놋북용으로 AC 지원하는 무선랜카드를 구입헀다.


Broadcom BCM94352HMB / AzureWave AW-CE123H 이라는 제품이며 해킨에서도 잘된다는 제품이다.


설치방법은 http://www.tonymacx86.com/network/104850-guide-airport-pcie-half-mini-v2.html 글을 참조하거나


x86osx에서 한 회원분이 미리 패치한 kext 넣어서 돌리면 된다. (http://x86osx.com/bbs/view.php?id=pds&no=6726)

블루투스는 문제가 있어서 위에 링크에서 받지 말고 http://forum.osxlatitude.com/index.php?/topic/2925-bluetooth-firmware-uploader/ 에서 받는걸 추천함 (BTFirmwareUploader.kext 사용시 잠자기, 해킨 단독 부팅시 문제 없이 작동함)

설치하면 Wi-Fi & 블루투스 모두 정상 작동하며 5GHz도 잘 잡는다.



해외에서 구입하고 배송비까지 따지면 국내에서 판매 중인 옥션판매자랑 가격이 비슷하니 그냥 국내에서 사는걸 추천한다.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881381130&frm3=V2 

판매자분이 센스가 있게 USB에다가 드라이버 파일을 동봉해서 보내주신다. (윈도우 전용)


+) 내용 추가

장비가 한개만 연결시 aptx 코덱도 활성화가 됨 (써보면 확실히 좋음)


++) 내용 추가

블루투스 개발자툴로 강제 aptX 활성화가 가능함 (원래는 장비 2개 연결시 aptX 코덱이 작동안하고 다른 SBC 코덱이 작동됨)

http://dl.devbreak.info/mzhuBluetooth Explorer.app 받아서 스샷처럼 설정해주면 됨


애니 스트리밍 서버를 친구들이랑 같이 쓰려고 알아보고 고생 좀 하면서 쓴 글이다. ㅋ 


기본적인 Webdav 설정은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WD My Cloud에 Webdav 활성화하기


계정별 폴더 권한 설정 부분은 이 글을 참조했다.

포고플러그 E02 Debian Webdav 설치와 쉬운 파일 공유


전체권한을 줄 계정 한 개 그리고 특정 폴더만 읽을 수 있게 할 계정 이렇게 2개를 생성한다.

자세한 건 제일 위에 링크를 참조하거나 밑에 적어준 데로 참조해서 생성해도 된다. 

#계정 생성 시

/usr/local/sbin/addUser_apache.sh 아이디 비번

 

#계정 삭제 시

/usr/local/sbin/deleteUser_apache.sh 'delete_dev_user' 아이디


필자는 A, B 이라고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하겠다.


A 계정으로는 모든 권한이 있으며 폴더도 모두 접근이 가능

B 계정은 Anime 라는 폴더만 접근할 수 있으며 읽기만 가능

nano /etc/apache2/sites-available/webdav.conf


빈 페이지에 이렇게 붙여넣기 한다. (어느 정도는 본인에게 맞게 수정하면 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Directory /shares>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Directory>

Alias /webdav /shares
<Location /webdav/>
Dav On
Options Indexes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all
AuthName DeviceUser
AuthType Digest
AuthDigestDomain /webdav
AuthDigestProvider file
AuthUserFile /etc/nas/apache2/auth/htpasswd
AuthGroupFile /etc/nas/apache2/auth/htgroup
Require user A
</Location>

Alias /webdav2 /shares/Anime
<Location /webdav2/>
Dav On
Options Indexes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all
AuthName DeviceUser
AuthType Digest
AuthDigestDomain /webdav
AuthDigestProvider file
AuthUserFile /etc/nas/apache2/auth/htpasswd
AuthGroupFile /etc/nas/apache2/auth/htgroup
</Location>

<Directory /shares/Anime>
<LimitExcept GET PROPFIND OPTIONS REPORT>
Require user A
</LimitExcept>
</Directory>


사실 야매로 한거라서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는데 작동은 잘된다...

그리고 밑에 이 부분들은 자신이 쓸 경로에 맞게 바꿔주는게 좋다.

1
2
Alias /webdav2 /shares/Anime
<Location /webdav2/>


이 주소 접속시 모든 권한이 있는 A 계정으로 접속이 가능

http://XXX.XXX.X.X/webdav

B 계정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오직 읽기 권한만 있음

http://XXX.XXX.X.X/webdav2


이제 NPlayer로 접속해서 애니를 친구들이랑 같이 보거나 B계정과 밑에 주소를 알려줘서 알아서 보게 하던가 할 수 있다!

http://XXX.XXX.X.X/webdav2

WD My Could 구입하고 제일 먼저한게 모든 자료 백업하기, 타임머신, 비공개 트래커 시딩 (토렌트), 애니 스트리밍 기타 등등... 여러가지를 구축해서 잘 쓰고 있었다.


여러가지 기능들 중에서 아이튠즈 서버 (daap)도 활용 중이었는데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이 제대로 된게 없어서 음악을 듣지 못했다. ㅜㅜ

그러다가 우연히 한 블로그에서 방법을 찾았다! (x86osx에서 블루투스 동글 검색하다가 찾은 ...)


일단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으로 꼭 3689 포트를 열어줘야한다. (공유기 마다 설정은 다르니 알아서 열면 된다.)



사실 자세한 방법은 http://blog.lonelie.kr/32 그대로 따라해도 된다.

(이 글 자체가 링크를 참조해서 그대로 적은 글)


일단 터미널을 켜준다.

그리고는 "ssh 계정명@사용할본인SSH_IP -L 3689:localhost:3689 -N"

암호를 입력하고 난 후 아마 멈춘 상태로 있을텐데 무시한다. (끄면 연결이 끊긴다.)

이제 Network Beacon 라는 맥용 앱을 받아서 실행한다.

http://www.chaoticsoftware.com/ProductPages/NetworkBeacon.html


스샷대로 그대로 입력한 후 적용 시킨다.

(서비스 네임은 마음대로 바꿔도 된다.)


마지막으로 아이튠즈를 켜서 노래 재생을 해본다.


잘나온다면 끗!


로넬리에님 감사합니다!

올레샵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을 구입한 겸 APT-X 코덱 지원을 하는 블투 동글을 구입을 했다.



바로 "넷탑 NTP-BT400U 블루투스USB동글"


사실 구입하기 전에 맥에서도 될까? 라며 걱정을 했었다.

실제 스펙에는 윈도우만 지원한다는식으로 적어놓은 상태였고 칩셋에 대한 정보를 찾지를 못했기 때문이었다...


물건을 받아서보니 칩셋에 대한 정보가 적혀있었다.

CSR 8510칩셋


맥에 연결해보니 다행이도 한방에 인식이 되었다.


IOBluetoothFamily.kext 안에 CSRBluetoothHostControllerUSBTransport.kext 플러그인 켁스트가 들어있었고 기본적으로 맥에서 네이티브로 지원되는 제품인걸로 확인이 가능헀다.


문제가 있다면 이미 노트북에는 블루투스가 있어서 그런가 사용은 불가능 했고 블투가 없는 해킨에서 연결해보니 파일 전송시 모든 기능들이 멀쩡하게 잘 작동되었다.

해킨이나 리얼맥에 쓰려고 구입 할 예정이라면 구입해도 전혀 문제가 없을만한 제품


윈도우에서는 8.1 기준 자동으로 드라이버가 잡혀서 설치가 되었고 아무 문제 없이 한방에 작동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제품에는 숨겨진 함정이 하나 있었다.

전송 속도는 BT2.1 성능 ㅋ;


10.9.1에서 10.9.3 업데이트시 생기는 문제가 한개 있는데 바로 화면이 안나온다....


페르미 기반 그래픽이라 퀵타임 영상 깨지는걸로도 짜증났던 상황이라 여러가지 만져본 결과 smbios 수정시 그래픽 깨짐 현상, 10.9.3 업데이트시 화면 출력도 된다!


카멜레온 툴로 이렇게 smbios 수정 후 저장하고 재붓하면 아무 문제 없이 화면이 뜬다.

다만 노트북인데 아이맥으로 잡혀 나오는건 함정...



업데이트시 풀리는게 오디오, SD 카드 설정, 배터리, Wi-Fi인데 

밑에 KEXT 받아서 돌려주면 한방에 해결

http://dl.devbreak.info/yNvw


WD My Cloud 쓰다보니 외부에서도 접근해서 애니를 본다던가 SSH, FTP 접속 등 여러가지 서비스를 쓰기위해서는 포트 포워딩이 꼭 필요하다.

그래서 작성한 글이 이 글이다.


대략적으로 알아본거라서 더 있을 수도 있으니 궁금하면 직접 포트 스캔해보면 됨

21

FTP

22

SSH

80

HTTP

111

sunrpc (NFS)

139

netbios-ssn (CIFS)

443

HTTPS

445

microsoft-ds (CIFS)

548

afpovertcp (AFP)

2049

nfsd (NFS)

3689

daap (iTunes Server)

9000

csllstener (Twonky Server)

9443

tungsten-https



참조한 글

Synology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포트는?

http://www.synology.com/ko-kr/support/faq/299

처음으로 인터넷을 광랜으로 바꾸고 제일 먼저 한 게 공유기, 랜선, NAS, 그리고 노트북에 쓸 AC 지원 USB 무선랜 카드 구매였다.


새로넷[각주:1]이라는 아주 끔찍한 지역 인터넷을 써서 평소에는 꿈도 못 꾸는 그런 물건들이었고 olleh (KT) 광랜 + IPTV 신청으로 갈아타면서 어떤 제품으로 살까? 하나하나 고민하면서 고른 후 구매를 했다.


구매한 제품들은 딱 한 개를 제외하고는 정말로 좋았다. 딱 한 개만 빼고...


노트북에 해킨을 올려서 쓰다 보니 타임머신으로 자주 백업도 해야 했고[각주:2] 나스를 구매하다 보니 자료를 옮기려면 최소한 기가비트급은 돼야지 편하지 않을까 해서 구매한 제품이 'D-Link DWA-182 USB 무선랜카드'


구매한 이유는 2가지였는데 하나는 같은 회사 제품끼리는 호환성이 좋지 않을까였고 나머지 이유는 제품 사양을 보고 골랐다.


제품 사양을 보면 분명히 802.11ac 지원, 867Mbps 링크 속도 기타 등등 자랑스럽게 적어 놓았다.

(사진 출처: http://prod.danawa.com/info/index.php?pcode=2125522)




저 위에 적힌 스펙이 진짜라고 믿었고 물건을 구매해서 받았다.

물건을 받고 뜯어보니 실망스러운 게 한두 개가 아니었다.

USB 3.0 지원하는 제품에 2.0 연장 크래들을 제공하다니 무슨 정신 나간 짓인가...



그래도 직접 USB 3.0 연결할 거라 상관없다고 생각을 하고 사이트 가서 드라이버 파일을 보는데 여기서부터 벌써 이 제품은 똥이라는 걸 느끼기는 충분했다.

윈도우용 드라이버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주면서 맥용은 10.8까지만 있고 10.9는 갖다 버린....

빡친 나머지 이 제품에 들어가는 RTL8812AU 드라이버를 직접 찾아다녀서 10.9 지원되는 걸 찾았다.


(다운로드 링크: http://www.mydlink.co.kr/2013/beta_board/product_detail.php?no=165&model=DWA-182

10.9 맥용 링크: http://www.osx86.net/files/download/3585-realtek-80211ac-1gige-wifi/

http://support.dlink.com/ProductInfo.aspx?m=DWA-182  C1 버전으로 미국 디링크에서 정식 10.9 버전으로 다운가능

국내 버전껀 아주아주 오래된 고대 유물버전)




드라이버를 설치했으니 제대로 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랜선도 CAT 7로 연결된 상태였고 같은 회사 제품인 DIR-868L 공유기를 사용했다.

테스트는 공유기 바로 옆에서 함



MAC


speedtest.net 속도 측정 시 속도는 문제없음


링크 속도도 최대치인 867Mbps 잡힘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아니 시X 나스 속도가 뭔가 이상하다.


기가비트 유선랜으로 직접 이동시 속도랑 약 2~3배나 차이가 난다.


설마해서 시스템 정보에서 USB 정보를 확인해보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X발 3.0 제품이라면서?

최대 480Mb/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씨X 왜죳!


뭔가 빡치기 시작한다.

설마해서 윈도우에서도 확인을 해봤다.


Windows


맥에서랑 동일하게 윈도우도 외부 넷 속도는 최대치로 뽑아준다.



역시나 속도도 867.Mbps



그런데 X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스랑 연결하면 2.0 최대 속도로 전송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뭔가 심각하게 잘못된거 같다.


이 망할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니 RTL8812AU 이거 자체가 애초에 2.0에 맞게 만들어진거였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TL8812AU-VS(802.11ac 2x2 USB2.0) Realtek Semiconductor Corp. Network Adapter

그런데 디링크 개X끼들은 USB 3.0 지원이라고 적어놓고 구라를 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연결만하면 무조건 2.0으로 잡히는 제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X같다.... 돈은 돈이지만 저렇게 허위광고로 사람 쳐 낚으면 기분이 좋을까?


그러니 이 쓰레기 같은 제품 사지말고 차라리 무선랜 카드를 사서 바꾸는걸 권장한다.


내용추가)

해외 포럼에서도 나랑 같은 2.0 속도라는걸 증명하는 글이 올라옴


Windows

http://forums.dlink.com/index.php?topic=59381.0


해외 포럼처럼 윈도우에서도 동일하게 3.0에 연결해도 2.0으로 잡힘



2014년 5월 22일 목요일

디링크에 문의 중










2014년 5월 23일

일단 리얼텍쪽에서 패치를 안해주는 이상 Windows & MAC 에서는 2.0 연결로만 가능하다고 함

나중에 연락을 다시 주신다고 했는데 언제 패치가 될지는...


2014년 6월 1일

현재까지 아무 연락도 없고 고칠 의지가 없는 모양이다.

3.0 제품이라고 파는거 자체가 소비자를 X먹이는 행위로 보이고...

일단 소비자고발센터라던가 여러 곳에 민원을 넣을 예정

미창부에 먼저 넣어보긴 했는데 반응에 따라서 안된다면 한국에 민원 사이트들 다 뒤져서 민원을 넣을꺼다.


판매 금지를 먹던가 2.0으로 고치던가 3.0 지원하게 만들던가 3개 중 한개는 실현될꺼라 믿는다.


2014년 6월 7일

허위 광고로 처리하려면 여러가지 절차를 거쳐야하는 모양

어차피 AC 지원하는 무선랜카드를 구입했고 교체해서 잘 쓰는 중... http://youtil.wo.tc/104

디링크 코리아 믿을바에 그냥 이걸 팔아치우던가 뿌수던가 해야할듯


더 이상 이 제품에 대해서 신경 끄기로 함

  1. 다운 1MB/s, 업로드 100kb/s 좆쓰레기 인터넷 // 김천 새로넷 보고 있냐? 다 뒤져라 [본문으로]
  2. 새버전 업데이트시 문제가 생기면 자주 쓰는게 타임머신이었다. [본문으로]

가끔 리플렉비트를 하다보면 CPU 레벨을 최대치로 해도 재미가 없다는 고수들을 위한 글임


이 스샷 한장으로 얼마나 쩌는지 알아볼듯


방법은 FLEX 키고 밑에처럼 원하는 값을 넣으면 주면 끗 (최대치는 99)

어떤건지 궁금한 분들은 영상을 보시면 바로 이해 하실듯 (4월 1일 실제로 플레이가 가능했고 에디터 패턴아님)


http://www.youtube.com/watch?v=c5HpnKMUgOU


다만 이 재밌는 랜덤패턴은 딱 하루를 위한 패턴이었고 탈옥으로 활성화 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 찾아보니 있길래 저장용겸 글을 써봄

스샷대로 추가해주고 활성화 시키면 끗! (어때요, 정말 쉽죠?)


혹시 저 클래스 값이 보이지 않을 경우 http://youtil.wo.tc/89 참조하면 됨 (Flex 2 경로는 댓글 참조)

시작하기 전에 이 글은 성의가 없고 친절하지 못한 글입니다. 

알아서들 삽질하면서 배우세요. 낄낄...



프로그램은 알아서들 구하시고 일단 SoftEther VPN Server Manager 실행을 해봅시다.

어... 다 영어라서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먼저 기존꺼 대신 새로 만들어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New Setting 누르시고 대충 비슷하게 셋팅을 하시면 리스트에 하나가 추가됩니다.


이제 생성된걸 설정 해봅시다.

비밀번호 입력이 뜨면 금방 적으신 비번을 넣으면 땋! 하고 로긴이 됩니다.


제대로된 설정창이 보이네요.

일단 전 이미 만든게 있지만 새로 하나 더 만들어서 설명해 드리곘습니다.

Create a Virtual Hub 누르고 아디,비번 넣고 생성


인증서 설정과 L2TP 기본 설정을 해봅시다.

Encryption and Network 먼저 볼까요.


그대로 따라서 설정하시고 인증서가 없으신 분들은 OpenSSH 윈도우 버전을 받아서 생성하시거나 아님 제일 무난한 우분투, 맥에서 생성해서 넣으세요.

방법은 구글에 잘 나옵니다.


iPsec / L2TP Setting 설정도 똑같이 따라서 체크하시면 됩니다.


이제 위에서 만든 계정을 더블 클릭하시면 이렇게 또 다른 복잡한 창이 뜹니다.

여기서 Manage Users 클릭


이제 VPN 설정시 사용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적습니다.


Trusted CA Certificates 누르시고 이번에는 인증서를 추가


마지막으로  Virtual NAT and Virtual DHCP Server (SecureNAT) 에서 Enable SecureNAT 활성화를 하시면 끝

확인 ㄱ



자 이제 접속 테스트를 해봅시다.

전 앱등이라서 맥 기준으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 클릭 

인증설정에서 암호는 만드신 암호, 시스템 인증 - 공유 보안에는 vpn 이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고급 누르시면 이렇게 고급설정창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VPN 연결을 통해 모든 트래픽 전송 체크를 꼭 해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연결이 가능합니다. (스샷에는 기존에 쓰던걸로 접속함)


뭐 이렇게해도 접속 불가라면 알아서 삽질하세요. 끗

+ Recent posts